소식

뉴스 레터

더펠로우십 활동 기간 발행된 뉴스레터들을
모아서 보여드립니다.

체다카12월 체다카 뉴스레터

2022-12-30





2022년 12월 │ 웹으로 보기

체다카패밀리 MEMBERSHIP NEWSLETTER

오늘의 체다카 레터 미리보기
•   나눔 알아가기 유대인의 지혜로 보는 체다카
•   나눔 실천하기 나눔은 [            ]이다
•   나눔 돌아보기 세계 곳곳 우리의 손길이 닿길


Happy New Year!
새해에도 평안하고 행복이 가득하길 소망합니다.
2023년에는 체다카 패밀리와 함께 나눔의 지식을 쌓고,
나눔을 실천하고, 나눔의 마음을 넓히는 일을 해 나아가려 합니다.
올 한 해 체다카를 해야 하는 이유는 명확하지만,
구체적으로 꾸준히 실천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이에 앞으로 다양한 정보와 활동을 공유하며
체다카 문화가 가정 안에 자연스레 스며들길 응원하겠습니다!


 

나눔 알아가기

유대인의 지혜로 보는 체다카


하나님 말씀을 현재의 삶에 조화시키려 끊임없는 시도를 한 유대인의 23가지 습관.
그들의 삶과 문화를 엿보고, 이를 우리의 삶의 지혜로 응용해 보는 시간을 가지면서
자선의 습관, 체다카도 배우고 진정한 행복을 찾아보아요!

<유대인 지혜의 습관>(김정완)은 유대인이 하나님의 말씀을 현재 삶에 조화시키려는
끊임없는 시도를 23가지 습관으로 정리한 책입니다. 저자는 이웃을 도외시하고 돈만 쫓는
현대인들의 위태로운 삶에는 안식과 평화가 찾아 들지 않는다며,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행복한 삶인지 유대인들의 습관을 통해 배우라고 말했습니다.

영적인 삶을 추구하는 정통파 유대인들과 세상의 변화를 주도하는 유대인들이
뒤섞여 살아가는 이스라엘 사회에서 볼 수 있는 그들의 지혜를 엿보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한 손에는 토라와 탈무드로 상징되는 변하지 않는 가치,
다른 손에는 변화를 주도하는 힘으로 영적인 삶과 세속적 삶을 조화시켜 가는
유대인의 지혜를 우리의 삶의 지혜로 응용해 보는 시간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본문중에서>

-유대인들은 가난한 자들에게 주라고 하나님이 나에게 맡긴 제물을 돈이라고 생각한다. 돈을 번다는 것을 이웃을 섬기는 행위로 본다. 그리고 돈이 욕망의 상징이기는 하나 돈에 욕망을 투영하는 인간이 문제인 것이지 돈 자체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 (P.63)

-체다카를 하게 되면 탐욕을 통제하고 인생의 맛을 만끽할 수 있다. 대신 자취를 남겨선 안된다. 소금이 음식에 녹아 그 자취를 찾을 수 없는 체다카를 할 때는 마치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하듯이 은밀하게 행해야 한다. (P.65)

-유대인에게 황금은 두 가지의 상징성을 갖고 있다. 하나는 신에 대한 복종으로서의 자선이고 또 다른 하나는 부를 축적하여 누리는 풍요로운 삶이다. 이 두 가지는 서로 모순된 것처럼 보이지만 유대인들은 전혀 그렇게 보지 않는다. 돈을 가지고 이웃을 섬기는 자선은 이웃을 사랑하라는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복종이고, 그에 따라 부를 축적하는 것 역시도 하나님 명령이라고 생각한다. (P.71)

-유대인들은 아이들에게 경제 교육을 할 때 체다카를 통해 돈을 가치 있게 쓰는 법을 먼저 가르친 뒤 비로소 돈을 정직하게 버는 법을 가르친다. 그리고 자선은 남에게서 훔친 돈이 아니라 정직하게 번 돈으로 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P.72)

-유대인들은 경제적 독립을 한 인간으로서 바르게 살아가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탈무드에서도 아버지가 반드시 해야 할 일 중의 하나로 자녀들에게 반드시 장사(비즈니스)를 가르칠 것을 권고한다. 그래서 유대인 부모들은 어렸을 때부터 용돈을 가지고서 경제 교육을 시킨다. 용돈을 정기적으로 주면서 수입과 지출을 기록하게 하고 합리적인 소비와 미래를 위해 저축을 하게끔 하고 이웃을 위해 쓸 자선금을 마련하게끔 한다. (P.73)


단순히 아이에게 자선을 가르치고, 베푸는 손을 만드는 것이 끝이 아닙니다.
우리의 삶이 바뀌는 일입니다. 돈에 대한 가치관, 자선에 대한 가치관이 바뀌고
체다카가 더 깊숙이 여러분 가정 안에 자리 잡길 응원하겠습니다.

 

나눔 실천하기

나눔은 [          ]이다


“나누고 싶은 것, 나눌 수 없는 것, 나누지 못한 것, 꼭 나누어야 하는 것”
나눔에 대한 생각을 마인드맵으로 정리해 보세요.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많고, 깊고, 넓은 나눔 이야기가 펼쳐질 거예요!


<나눔 마인드맵 만들기>

[준비물] A4용지(인원수 만큼) 또는 전지, 사인펜

마인드맵의 의미는 마음속에 지도를 그리듯이 줄거리를 이해하며 정리하는 방법이라고 설명해 준다.

Tip. 쉬운 단어(사과, 나무)로 마인드맵을 직접 보여준다.


마인드맵을 적을 사람을 정한다.

‘나눔’에 대해 자연스럽게 이야기하고 정리하며 마인드맵을 완성한다.

Tip1. 나눔에 대해 떠오르는 감정, 색깔, 나누고자 하는 것, 도울 나라 등 생각이 확장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Tip2. 가족 구성원 각자 ‘나눔’에 대해 마인드맵을 한 후 발표하는 시간을 가져도 좋다. 또는 개인적으로 한 후 모두의 생각을 정리해 ‘가족 나눔 마인드맵’을 만들어도 좋다.



* 완성된 나눔 마인드맵을 [email protected]로 보내주시면
베스킨라빈스 [교환권 5천원]을 드립니다.

 

나눔 돌아보기

세계 곳곳 우리의 손길이 닿길

happybean

이번 달 체다카함을 어디로 보낼까요?
주위를 둘러보면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우리의 손길을 기다리는 곳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우리의 따뜻한 마음을 전할 준비되셨나요?



1) 위드(Wholistic Interest Through Health)
고통받는 지구촌, Yellow Window를 사랑과 영양으로 섬깁니다.

👉 “마다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기 위해 소망의 씨앗을 심어요”



2) 세계교육문화원 WECA는 서울시교육청 소속의 국제구호 NGO 단체입니다.
국내외 빈곤 지역의 아이들이 가난을 탈피하여 그 나라에 중추적인 역할을 감당할 때까지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비전과 꿈이 충만한 인격체로 성장하도록 다각적 지원을 합니다.

👉 “쓰레기마을 아이들에게 크리스마스의 기적을 보여주세요!”



3) 한국희망재단은 공동체를 통해 개인의 자립을 실현하는 것이 진정한 희망이라는
신념으로 개인이 아닌 마을을 살리는 자립 전문 국제개발협력 NGO입니다.

👉 “치사율 높은 에볼라 바이러스가 우간다를 덮쳤습니다”



4) 더펠로우십(The Fellowship)은 이스라엘과 우크라이나 등
동구권 빈민가족과 홀로코스트 생존자를 지원하고 있는 국제구호재단입니다.

👉 “내 나라에서 탈출한 빈곤 난민가정을 도와주세요”

세계 곳곳에는 정말 다양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으며
우리의 손길을 기다리는 곳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눈여겨보지 않으면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라고 생각되겠죠?

세계의 곳곳에 우리의 도움이 필요한 이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아이들에게
뉴스레터 속 후원처에 대해 소개해 주세요. 그들을 위해 할 수 있는 일들이 무엇이 있을지 나누며
우리의 마음과 시선을 열어 따스한 손길이 필요한 곳에 대해 얘기해보세요.

이 시간을 통해 아이들이 돕는 사람 되어 도움받는 사람을 생각하며
배려와 존중을 익히는 시간이 될 거예요!

 

📢 [공지 1] 네이버 블로그 오픈!

체다카 패밀리 가 오픈되었어요! 베푸는 손을 의미하는 손모양의 체다카 블로그의 마스코트 ‘베푸리’와 함께 체다카 문화에 대해 이해하면서 나를 사랑하고 사회를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 방법을 배울 수 있어요. 체다카에 대한 이해부터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팁을 공유하여, 아이들과 자선과 나눔에 대해 배우고 생각을 나누는 공간이니 많은 관심과 방문 부탁드려요!

📢 [공지 2] 2023년 체다카 기록카드 발송 안내


 2023년 체다카 기록카드 발송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합니다.
6개월 이상 체다카의 나눔을 실천해온 가정에게는 ‘나눔 기록 카드’와 함께 ‘아메리카노 기프티콘(T)’을 보내드립니다. 많이 참여해주세요!

📝설문조사 참여

문의 : 인스타그램 (@the.fellowship.kr) DM


 더펠로우십 소개  캠페인 후원  구호 스토리